적혈구증가증 (polycythemia) 진단 검사 (진성, vera, 헤모글로빈, 혈색소, hemoglobin, Hb, erythropoietin, EPO 정상 수치)
적혈구증가증 (polycythemia)는 혈색소 (hemoglobin, Hb)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것입니다.실제로 혈색소가 증가한 경우도 있고, 혈장량이 감소해서 혈색소가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처럼 보이는 거짓/비교 적혈구증가증이 있습니다. 적혈구증가증의 영어 용어로는 erythrocytosis와 polycythemia가 있습니다.Erythrocytosis는 적혈구량을 측정하여 증가된 경우에 국한하여 사용하고 polycythemia는 적혈구가 증가된 모든 경우에 사용하자는 의견이 있습니다. 적혈구증가증을 크게 분류하면 원인에 따라 거짓 (혈장량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경우; Gaisbock 증후군), 원발성, 이차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차성 적혈구증가증은 적혈구생성인자 (erythropoietin, ..
더보기
Tear drop cell (dacrocyte, 눈물방울 세포, 누적적혈구) (말초혈액도말, peripheral blood smear (PBS), 기형적혈구증, poikilocytosis) (골수 섬유화)
Tear drop cell (dacrocyte) (눈물방울 세포, 누적적혈구) Tear drop cell은 말그대로 눈물 모양, (먹는) 배 모양의 적혈구이다. 눈물방울 세포는 골수 섬유화, 심한 적혈구이형성, 일부 용혈빈혈에서 관찰될 수 있다. 거대적혈모구빈혈 (megaloblastic anemia), 지중해빈혈 (thalassemia major), 골수섬유화 (myelofibrosis. 특발성이든 전이암 등의 골수 침윤에 이한 2차성이든)에서 관찰되는 특징적인 소견이다. 종증성 지중해빈혈 (thalassemia major), 골수섬유화에서, tear drop cell의 비율은 비장절제술 (splenectomy) 후에 감소한다. 이는 눈물모양 세포가 extramedullary hematopoiesis ..
더보기
간질환, 신장질환, 내분비질환과 빈혈 (간염, 간경변, 알코올, 신부전, erythropoietin, EPO, 전신질환)
간질환, 신장질환 (신부전) 등 각종 전신질환이 있으면 빈혈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Anemia of chronic disease (ACD, 만성질환에 의한 빈혈) 개념과 중복되기도 하지만, 오늘은 전신질환으로 인한 골수 부전때문에 빈혈이 발생하는 경우만 다룬다. 1. 간질환에 의해 빈혈이 발생하는 경우 간질환이 있으면 만성 출혈 빈혈,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골수 억제 (bone marrow suppression)로 인한 저형성 (hypoplastic) 빈혈, 알코올간경변증 (alcoholic liver cirrhosis)시의 엽산 결핍 (folate deficiency)으로 인한 거대적혈모구빈혈 (megaloblastic anemia), 후천성 용혈빈혈, 울혈성 비장종대 (congestive sple..
더보기
재생불량빈혈 (aplastic anemia, 재생불량성 빈혈) 진단, 검사, 중증, 범혈구감소증 (pancytopenia)
재생불량빈혈 (aplastic anemia, AA, 재생불량성 빈혈)은 골수 부전 (bone marrow failure)에 의한 질환이다. 개요 Introduction 골수의 조혈조직이 지방조직 (adipose tissue, fat tissue)으로 대치되어 말초혈액에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모두 감소되는 범혈구감소증 (pancytopenia)을 나타내는 조혈기능 장애이다. 위와 같은 기전에서 알 수 있듯이 빈혈 (적혈구, 혈색소 Hb 감소) 뿐 아니라 백혈구, 혈소판도 감소한다.재생불량빈혈 (aplastic anemia)이라는 용어는 질환에 대한 이해가 완벽하기 전에 지칭된 misnomer (부적절한 명칭)이다. 구체적인 원인과 기전은 다양하고, 동양인에서 2-3배 발생빈도가 높다 (서양인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