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채집 (peripheral blood stem cell colleciton, PBSCC) (골수 채취, 제대혈, 이식, 기증자, processing, 냉동 보관, 해동 thawing, CD34)
이번 글은 조혈모세포 채집 (hematopoietic stem cell collection)에 대한 글입니다.조혈모세포 이식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의 전반적인 개념에 대해서는 이전 글 참조 바랍니다 (글 하단 링크). 조혈모세포는 골수 (bone marrow, BM), 말초혈액 (peripheral blood, PB), 제대혈 (cord blood)에서 채집/채취합니다.골수 이식은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말초혈액조혈모세포이식은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라고 합니다.말초혈액조혈모세포채집은 PBSCC (peripheral blood stem c..
더보기
조혈모세포 이식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원리, 자가, 동종, 면역, 공여자, 기증, 골수, 생착, 림프종
조혈모세포 이식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은 말그대로 조혈모세포를 환자에게 이식하는 것입니다과거에는 조혈모세포가 주로 있는 골수를 이식하였는데, 요즘은 골수의 조혈모세포를 말초혈액으로 가동화 (mobilization)한 후 말초혈액에 있는 조혈모세포를 채집하여 이식합니다.치료 목적은 같으므로 요즘에도 그냥 통상적으로 골수이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조혈모세포 이식의 종류 조혈모세포 이식은 환자 (수여자, recipient)와 공여자 (기증자, donor)간의 관계에 따라 면역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1) 자가 (autologous): 환자 자신의 세포를 냉동 보관했다가 해동해서 이식 (recipient = donor)2) 동종 (allog..
더보기
호산구 (Eosinophil) 기능, 역할, 모양, 정상 수치, 호산구증가증 (eosinophilia), 감소증, 원인 (기생충, 알레르기), 과립
호산구 (eosinophil)는 다른 백혈구와 마찬가지로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로부터 분화되어 생성됩니다.골수세포 중 호산구는 약 3%를 차지하는데, 그 중 2/3는 미성숙한 형태인 myelocyte, metamyelocyte 등의 형태이면서 호산구성 과립이 있는 전구세포 형태이고 1/3은 성숙된 호산구입니다. 호산구 참고 범위 (정상 수치), 호산구증가증 (eosinophilia), 호산구감소증 말초혈액에서 호산구의 정상 수치(전체 백혈구 중 비율)는 평균 2.7% 입니다.말초혈액에서 호산구의 절대 개수가 500 개/μL 이상인 경우 호산구가 증가된 상태이고 eosinophilia (호산구증가증)라고 합니다.500~1500/μL: 경도1500~5000/μL: 중등도>5000/μL: 심한 호산구증가증입니다...
더보기
철결핍빈혈 예방 (소아, 영아, 모유, 철분 권장 섭취, 여성, 식이, 음식, 분유, 육류, 우유)
앞선 글에서, 철결핍빈혈은 지능, 신경학적 발달에 영향을 주므로 소아에서 더욱 중요하다고 했습니다.이 글에서는 철결핍빈혈을 예방하기 위한 철분공급방법 (특히 소아에서)을 다룹니다. 생후 6개월~10세 사이의 소아에서 일일 철분 섭취 권장량은 10 mg입니다.청소년기에는 일일 16 mg의 철분 섭취를 권장합니다. 미숙아, 저출생체중아는 만삭아에 비해 철분 저장량이 더 적고 더 많이 성장해야 하므로 생후 2개월 전에 철분 보충이 필요합니다.따라서 생후 2주부터 하루에 2~4 mg/kg (최대 15 mg)의 철분을 공급해야 하고 12개월까지 증량해야 합니다.철분은 철강화분유로 공급할 수 있습니다.표준 미숙아 분유 (14.6 mg/L철) 또는 정상 신생아 분유 (12 mg/L 철)를 통해 하루에 약 2 mg/k..
더보기
철결핍빈혈 (iron deficiency anemia, IDA) 증상, 검사, 수치, 지표, 진단 (철분 부족) (저장철, ferritin, CHr, TfR, ZPP/H, 헵시딘 (hepsidin))
개요 철분 결핍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영양 결핍입니다.철분이 결핍되면 저색소성 (hypochromic), 소적혈구성 (microcytic) 빈혈 (anemia)로 나타납니다.철결핍빈혈 (iron deficiency anemia, IDA)은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에서 유병률이 높습니다.남성보다는 여성에서 흔합니다.소아, 청소년에서 나타나는 빈혈의 흔한 원인이 철결핍입니다.특히 성장기에 철분이 부족하면 신경발달과 행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합니다.철분 함량이 낮은 음식만 먹고 육류 섭취가 적은 경우 철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채식주의자는 철결핍빈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증상 (임상 양상) 철결핍빈혈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창백입니다.피곤감, 운동능력 감소, 빈맥 (tachycardia), 심장비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