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의학 일반

연하곤란 (삼킴장애, dysphagia) 원인 질환, 진단, 검사, 치료

728x90
https://labmusiclm.tistory.com/119

이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연하곤란 관련 용어 정리

2. 연하곤란의 진단 과정 및 관련 검사

3. 연하곤란의 원인 질환 ()

4. 연하곤란의 생리학적 이해, 병태생리, 흔한 원인과 치료


 

연하곤란 (삼킴장애, dysphagia) 관련 용어 정리

 

연하곤란 (dysphagia), 인두 또는 식도를 통해 음식이 내려가다 막히거나 달라붙는 듯한 느낌으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연하곤란과 관련되는 다른 증상들을 총칭하는 용어로도 종종 사용됩니다.

연하불능 (aphagia)은 식도의 완전 폐쇄를 의미하며, 대개 덩어리가 식도에 꽉 박힌 것이며 내과적 응급상황으로 나타납니다.

삼킴을 시작하기 어려움 (difficulty in initiating a swallow)은 연하동작의 자발적인 단계 (voluntary phase)의 장애입니다. 그러나 삼킴이 시작되면 연하동작은 완전히 정상적으로 완료됩니다.

연하통 (odynophagia)은 삼킬 때의 통증을 뜻하며, 연하통과 연하곤란은 흔히 같이 일어납니다.

인두이물감 (globus pharyngeus)은 목에 덩어리가 걸린 듯한 감각으로 실제로 연하동작에는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음식물의 이상방향 (misdirection of food)은 삼킬 때 음식물이 코로 역류되거나 후두와 폐 속으로 흡인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며, 구강인두 연하곤란의 특징입니다.

공식증 (phagophobia)은 연하동작의 공포를 뜻합니다.

연하거부 (refusal to swallow)는 흡인의 공포을 일으키는 히스테리, 공수병, 파상풍과 인두마비에서 볼 수 있습니다. 연하통을 일으키는 통증성 염증 병소도 연하거부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떤 환자들은 음식이 식도로 내리는 것을 느낄 수 있으나 이러한 식도 감각은 음식의 부착 정도나 폐쇄와 관계가 없습니다.






연하곤란 진단 검사 과정

 

병력 청취

병력은 80%이상의 환자에서 정확한 추정진단을 내릴 수 있게 합니다. 환자가 묘사하는 연하곤란 부위는 식도가 폐쇄된 부위를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병변은 연하곤란을 느끼는 부위나 바로 아래에 위치합니다.

 

동반된 증상들은 중요한 진단적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삼킬 때의 비강 여유와 기관지내 흡인은 인두마비기관식도 누공의 중요 소견입니다. 삼킴과 관계없는 기도기관지내 흡인은 achalasia (아칼라지아, 식도이완불능증), Zenker diverticulum (게실)이나 위식도 역류에 의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연하곤란과 후두증상의 동반은 여러 가지 신경근육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쉰 목소리의 존재는 중요한 진단적 실마리일 수 있습니다. 연하곤란에 앞서 쉰 목소리가 일어났다면 원발 병변은 대개 후두에 있습니다. 연하곤란이 뒤따라 일어난 쉰 목소리는 식도 암종이 진행하여 반회후두신경 (recurrent laryngeal nerve)을 침범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쉰 목소리는 위식도 역류에 의해 2차적으로 생긴 후두염에 의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딸꾹질은 식도 하방의 병변에 의해 드물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한쪽 쌕쌕거림이 연하곤란과 동반되면 종격동 종양이 식도와 큰 기관지를 침범한 것을 시사합니다.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음식물의 종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형식만 삼키기 어려운 증상은 식도 내강이 심하게 좁아지지 않은 기계적 연하곤란을 시사합니다. 폐쇄가 진행되면 고형식 뿐만 아니라 유동식에서도 연하곤란이 일어납니다.

반대로 식도 이완불능증과 미만성 식도경련에 의한 운동성 연하곤란에서는 처음 시작할 때부터 고형식과 유동식 모두에서 같은 연하곤란을 보입니다.

피부경화증 환자들에서 고형식의 연하곤란은 체위와 관계없이 일어나지만 유동식에 의한 연하곤란은 서 있는 자세에서는 없고 누운 자세에서 일어납니다. 피부경화증 환자에서 소화성 협착으로 인해 식도가 좁아지게 되면 연하곤란은 더 오래 지속됩니다.

 

연하곤란의 기간과 경과는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일시적 연하곤란은 염증 과정에 의할 수 있습니다.

수 주에서 수개월 동안 점점 진행되는 연하곤란은 식도암종을 의심하게 합니다.

수년간 지속하고 있는 고형식에 대한 간헐적 연하곤란은 양성질환을 시사하며, 하부 식도 고리의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연하곤란의 정도에 비해 지나치게 심한 체중감소는 암일 가능성을 높게 시사합니다.

 

흉통과 연하곤란이 동반되는 것은 미만성 식도 경련 (diffuse esophageal spasm, DES) 및 관련된 운동장애에서 일어납니다. DES와 비슷한 흉통은 큰 덩어리에 의한 식도 폐쇄에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연하곤란에 앞서서 오랜 기간 동안의 가슴쓰림과 역류의 병력은 소화성 협착을 시사합니다.

오랜 기간의 비위관 삽관의 병력, 부식제의 섭취, 물 없이 알약을 삼킴, 방사선치

료의 과거력 또는 연관된 피부점막 질환 등은 식도협착의 원인을 제공합니다.

연하통이 있으면 칸디다, 헤르페스 또는 약제 유발 식도염을 반드시 의심해야 합니다.

 

후천성면역결핍증이나 다른 면역결핍 상태에 있는 환자들에서는 칸디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HSV), 거대세포바이러스 (CMV) 등의 기회감염에 의한 식도염과 Kaposi 육종, 림프종 등에 의한 종양을 반드시 의심해야 합니다.






Physical Examination (진찰 소견, 이학적 검사, 신체 검사)

 

구강인두 운동성 연하곤란에서 이학적 검사는 중요합니다.

말더듬증, 발성장애, 눈꺼풀처짐, 혀위축 및 과도한 턱반사와 같은 연수 또는 위연수 마비 (bulbar or pseudobulbar palsy) 징후나 전반적인 신경근육질환의 소견을 자세히 찾아보아야 합니다.

목에서는 갑상선종대나 척추이상을 반드시 검사하여야 합니다.

구강과 인두를 세심하게 관찰하여 음식의 통과경로를 가로막는 병변들을 찾아야 합니다.

급성 또는 만성 흡인성 폐렴 같은 호흡기 합병증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학적 검사는 종종 식도 연하곤란의 원인을 밝힐 수 있습니다.

피부나 팔, 다리의 변화는 식도를 침범할 수 있는 피부경화증, 다른 교원혈관성질환 또는 유사천포창과 표피수포증과 같은 피부점막질환 등을 추정할 수 있게 합니다. 림프절과 간으로의 전이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연하곤란의 진단 검사

 

연하곤란은 보통 기능적인 증상보다는 기질적 질환의 증상입니다. 구강 또는 인두 연하곤란이 의심되면 영상의학과와 연하 치료사에 의한 비디오 투시 삼킴검사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가 진단검사로 선택됩니다. 비디오내시경은 특수센터에서만 시행되고 있습니다. 인후두 및 신경학적 평가도 보통 요구됩니다.

 

임상병력에서 식도 기계적 연하곤란이 의심되면 바륨 삼킴조영술, 식도위내시경 점막생검이 진단검사로 선택됩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CT초음파내시경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운동성 식도 연하곤란에서는 바륨 삼킴조영술, 식도내압검사, 식도 pH임피던스 검사가 유용한 진단검사입니다.

식도위내시경은 동반된 구조이상을 배제하기 위해 운동성 연하곤란 환자에서 종종 시행됩니다.






연하곤란의 원인 질환

 

연하곤란의 원인 질환은 매우 다양합니다.

기전에 따라 기계적/운동성, 위치에 따라 구강인두/식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연하곤란의 원인 질환을 4개의 표로 정리했습니다.

 

식도 기계적 연하곤란

식도 벽 결손 (선천성, 기관식도누공)

염증성 식도염에 의한 내인성 협착

 바이러스 (헤르페스 (HSV), 대상포진 (VZV), 거대세포 (CMV))

 세균

 진균 (Candida (칸디다))

 피부점막 수포성 질환

 부식성, 화학성, 열손상성

 호산구성 식도염

막과 고리 형성

 식도 막/고리 (선천성, 염증성)

 하부 식도 점막고리 (Schatzki 고리)

 호산구성 식도염

 Host-versus-graft disease

 피부점막질환

양성 협착 (소화성, 부식성, 약제유발성)

염증성 협착 (크론병, 칸디다, 피부점막질환)

허혈성 협착

수술 후 협착

방사선치료 후 협착

선천성 협착

종양 (양성, 악성)

혈관성 압박

 Dysphagia lusoria, 비정상 우쇄골하동맥/우측대동맥, 좌심방 확장, 대동맥류)

후종격동 종괴에 의한 압박

미주신경 절단 후 혈종과 섬유화되어 압박

 

식도 운동성 연하곤란

평활근 (smooth muscle), 흥분성 신경 관련 질환

 근수축이 약하거나 하부 식도괄약근 (LES) 긴장도가 약한 경우

  피부경화증 등 교원혈관성질환

  Hollow visceral myopathy

  근이영양증

  대사성 신경근육증

  약물 (항콜린제, 평활근 이완제)

  원인불명

 근 수축이 강한 경우

  고압성 연동운동 (호두까기 식도)

  고압성 LES, 과수축성 LES

 억제 신경분포 장애에 의한 rudd

  미만성 식도 경련

  원발성 식도이완불능증 (achalasia (아칼라지아))

이차성 식도이완불능증

(Chagas disease (샤가스병), , 림프종, 신경병태성 거짓 장폐색증후군)

  하부 식도 근육 고리 (수축성)

 

구강인두 기계적 연하곤란

선천성

 구순열 (cleft lip)

 구개열 (cleft palate)

 인후열 (laryngeal cleft)

수술 후 구강인두 벽이 결손된 경우

염증에 의한 협착

 바이러스 (헤르페스 (HSV), 대상포진 (VZV), 거대세포 (CMV))

 세균 (peritonsillar abscess)

 진균 (칸디다 (Candida))

 피부점막 수포성 질환

 부식성, 화학성, 열손상성

Plummer-Vinson Syndrome

Microganthia (선천성 협착)

부식제를 섭취한 경우 협착

방사선치료 후 협착

구강, 인두 종양 (양성, 악성)

후인두 농양/종괴로 인한 압박

Zenker diverticulum (게실)

갑상선 질환으로 인한 압박

척추 골증식체로 인한 압박

 

구강인두 운동성 연하곤란

Alzheimer disease (알츠하이머병)

대사성 뇌증, 뇌염, 수막염, 뇌혈관사고, 뇌손상

뇌성마비

공수병, 파상풍, 신경매독

뇌혈관질환

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

추체외로 (extrapyramidal) 질환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소아마비

대뇌신경질환 (5, 7, 9, 10, 12번 뇌신경 관련)

뇌바닥수막염

신경손상

Guillain-Barre syndrome (길렝바레 증후군)

Sarcoidosis (사르코이드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중증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Eaton-Lambert syndrome

보툴리눔 독소 (Botulinum toxin)

약물 (aminoglycosides )

다발근육염, 피부근육염

사립체근육병증, 갑상선 근육병증

근이영양증, 안인두성 근육병증






연하(삼킴)의 생리적 과정

 

연하의 진행은 자발적인 (구강) 단계부터 시작되며 이는 삼키기에 적당한 음식 덩어리가 준비되는 준비기와 덩어리가 혀의 수축에 의해 인두로 밀려 내려가는 전이기로 구성됩니다.

연하반사 (deglutition reflex)는 중추로 중계되는 일련의 복잡한 연결반응입니다.

연하반사는 인두와 식도를 통해 음식물을 삼키고 삼킨 음식물이 기도 내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혀에 의해 음식 덩어리가 뒤로 넘어가면 후두는 동시에 앞으로 이동하고 상부식도괄약근 (upper esophageal sphincter, UES)이 열립니다. 음식이 인두로 넘어가면 수축된 연구개의 반대쪽으로 상부인두수축근 (superior pharyngeal constrictor)이 수축하여 연동수축이 개시되며 음식 덩어리가 아래쪽으로 빠르게 인두를 거쳐 식도로 이동됩니다. 음식이 식도로 넘어오자마자 하부식도괄약근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이 열리며, 연동수축으로 음식덩어리가 위로 내려갈 때까지 열린 채로 있습니다.

삼킴에 반응하여 일어나는 연동을 1차 연동운동 (primary peristalsis)이라고 합니다. 1차연동운동에서는 억(inhibition)에 이어 전체 연하 과정을 따라 근육들의 순차적인 수축이 뒤따라 일어납니다. 연동수축에 앞서 일어나는 억제를 연하억제 (deglutitive inhibition)라고 합니다. 남아 있는 음식물에 의한 식도의 부분적인 확장은 2차 연동운동 (secondary peristalsis)을 유발합니다.

 

구강, 인두, UES와 경부 식도의 근육은 횡문근이며 뇌신경에 있는 하부신경세포에 의해 직접 지배됩니다. 구강 근육들은 5, 7번 뇌신경에 의해 지배되고, 혀 근육은 제12 뇌신경에 의해 지배됩니다. UES는 수축근 (constrictor)과 확장근(dilator)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축근은 윤상인두근 (cricopharyngeus)과 하인두수축근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입니다. 확장근은 턱끝실골근 (geniohyoid)을 포함한 여러 개의 상설골근 (suprahyoid)입니다. 수축근은 제10 뇌신경에 의해 지배되고 확장근은 제12 뇌신경에 의해 지배되며  5, 7번 뇌신경에 의해서도 지배됩니다. UES는 뼈 자체의 탄력적 성질과 윤상인두근의 신경성 긴장 수축에 의해 항상 닫힌 채로 있습니다. 중추신경계에 있는 미주신경의 흥분성 활동이 억제되면 윤상인두근이 이완되고 확장근이 수축하여 후두를 앞쪽, 위쪽으로 이동시켜 UES가 열립니다.

 

연동운동을 일으키는 신경근육기관은 경부와 흉부 식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경부 식도는 인두근처럼 횡문근으로 구성되며 미주신경 (10번 뇌신경)에 있는 하부신경세포에 의해 지배됩니다. 경부 식도에서 연동운동은 의핵 (nucleus ambiguus)에 있는 미주 운동신경세포의 순차적인 활성화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에 비해 흉부 식도와 LES는 평활근 성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도 근육층 신경얼기 (myenteric plexus)에 있는 흥분성과 억제성 신경세포에 의해 지배됩니다. 흥분성 신경의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substance P이며 억제성 신경은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nitric oxide입니다. 10 뇌신경에서 분리된 부교감 신경절이전 신경성유 (parasympathetic preganglionic nerve fibers)는 등쪽 운동핵 (dorsal motor nucleus)에서 기시하여 흥분성 및 억제성 근육층 신경얼기로 투사됩니다. 억제에 이어 흥분성 미주 통로의 정형화된 활성화가 연동운동을 담당하며 억제(연하억제)에 이어 수축이 잇따라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식도연동운동의 시점에서 연하억제에 의해 LES의 이완이 먼저 일어납니다.

 

LES는 쉴 때 흥분성과 억제성 신경의 영향을 받고 있는 LES의 내인성 근육 긴장도 (intrinsic myogenic tone)로 인해 닫혀 있습니다. LES의 기능은 횡격막 다리 (diaphragmatic crura)의 횡문근에 의해 추가 보완되며 이는 LES를 둘러싸고 있어 외부 LES로 작용합니다.






연하곤란의 병태생리

 

침범된 해부학적 위치에 기초하여 연하곤란을 구강, 인두, 식도 연하곤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연하과정을 통한 섭취된 음식물의 정상 통과는 섭취된 덩어리의 크기, 식도 내강의 직경, 연동수축의 힘, 삼킬 때 UESLES의 정상적인 이완을 포함하는 연하억제에 좌우됩니다.

큰 덩어리나 좁은 내강에 의해 일어나는 연하곤란을 기계적 연하곤란 (mechanical dysphagia)이라 하며, 연동수축의 약화나 비연동수축과 괄약근 이완부전을 일으키는 연하억제의 부전에 의한 란을 운동성 연하곤란(motor dysphagia)이라고 합니다.

 

구강과 인두 (구강인두) 연하곤란

 

구강기 연하곤란은 불량한 덩어리 형성과 조절에 관련되어 일어나며 그 결과 입에서 음식을 흘리거나 구강에 너무 오래 머물고 있게 되며, 환자는 삼킴 반사를 시작하기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불량한 덩어리 조절은 음식을 너무 이르게 인두로 흘러가게 하고 닫혀지지 않은 후두 또는 비강으로 흡인을 일으킵니다.

인두기 연하곤란은 불량한 인두 배출과 UES의 폐쇄에 의해 인두에 음식의 정체가 일어납니다. 인두 정체는 삼키는 동안 비강으로 역류와 후두 흡인을 일으킵니다. 삼킴 과정 중에 비강으로 역류와 후두 흡인은 구강인두 연하곤란의 현저한 특 징입니다.

 

구강인두 연하곤란은 발달 이상, 두경부 종양, 방사선 치료와 염증과정 등 다양한 기계적 원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구강인두 운동성 연하곤란은 덩어리 준비에 필요한 자발적인 노력의 장애나 덩어리 준비, 삼킴 반사의 시작, 인두를 경유하는 순차적인 음식의 통과와 코와 후두개구부로 음식이 들어감을 막는 데 관여하는 신경근육질환에 의해 일어납니다. 상설골근육들 (suprahyoid muscles)의 마비는 UES가 열리지 못하게 되므로 심한 연하곤란을 일으킵니다. 인두의 각 측은 동측의 신경의 지배를 받고 있기 때문에 운동신경세포의 한쪽 병변은 한쪽의 마비를 일으킵니다.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신경근육질환들은 다양한 대뇌피질과 상연수 (suprabulbar) 장애, 뇌줄기에 있는 신경핵이나 근육까지 경로의 뇌신경병변, 운동종말판 (motor end plates)에서 신경전달 결손과 근육병들입니다. 일부 이들 질환은 후두 근육들과 성대를 침범하여 쉰 목소리를 일으킵니다.

 

삼킴의 구강인두기는 1초를 넘기지 않기 때문에 급속 비디오 투시검사 (rapid-sequence videofluoroscopy)가 구강과 인두 기능의 이상을 검출하고 분석하는 데에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들은 의식이 완전하고 협조가 가능한 환자에서만 시행될 수 있습니다.

여러 다른 농도의 바람을 사용하는 비디오 투시 삼킴검사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는 삼킴의 구강기의 문제점들을 밝힐 수 있습니다.

인두는 혀계곡과 조롱박오목에 바륨 정체가 있는지와 바륨이 비강과 기관지로 역류되는 지가 검사됩니다. 삼킬 때 인두 수축파형과 UES의 열림은 주의 깊게 분석됩니다. 내압검사는 인두 수축의 낮아진 압력과 삼킬 때 더 이상 떨어지지 않는 낮은 UES 압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 치료훈련된 연하 치료사의 감독 하에 인두 정체를 줄이고 기도 보호를 강화하는 수기들로 이루어집니다. 영양 유지를 위해 비위관이나 내시경으로 위치시킨 위루관을 통한 급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침분비에 의한 흡인을 방지해 줄 수 없습니다. 실제로 위루관 급식은 위식도역류를 증가시킬 수 있어 더 심한 흡인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공장루관 급식은 역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뇌졸중 등 뇌혈관사고에 의한 연하곤란은 종종 완전하지는 않지만 보통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됩니다.

중증근육무력증 (myathenia gravis)과 다발근육염 환자는 원발 질환의 치료에 반응할 수 있습니다. 윤상인 근절제술 (cricophangeal myotomy)은 보통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흡인을 예방하기 위한 광범위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사망은 종종 호흡기 합병증에 의해 일어납니다.

 

윤상인두 막대 (cricopharyngeal bar)는 삼킬 때 상설골근육은 정상적인 활동이지만 윤상인두 이완 실패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삼킴조영에서 윤상연골의 하부 위치에서 인두 후벽의 뚜렷한 돌출로 보입니다. 일시적인 윤상인두 막대는 상부위장조영술 검사에서 연하곤란이 없는 사람의 5%까지도 관찰됩니다.

상인에서 발살바 수기로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막대는 윤상인두의 섬유화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윤상인두 근절제술은 윤상인두 근육에 의한 기능적 폐쇄의 증거가 있는 증상이 심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수술은 인두나 호흡기 흡인을 일으키므로 위식도역류가 있으면 금기입니다.

인두이물감 (globus pharyngeus)은 감정질환이 있는 환자, 특히 여자에서 주로 일어납니다. 바륨검사와 내압검사는 정상소견입니다.

치료는 근본적으로 안심시키기로 이루어집니다. 인두이물감의 일부 환자는 역류성 식도염과 관련되며 식도염의 치료에 반응할 수 있습니다.

 

식도 연하곤란

성인에서 식도는 식도벽의 신축성때문에 직경이 4cm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식도가 직경 2.5cm이상 늘어나지 못할 때 연하곤란이 일어날 수 있으며, 1.3cm이상 늘어날 수 없는 경우에는 항상 연하곤란이 있습니다.

식도의 원주를 둘러싸는 병변은 다른 쪽에는 신축성이 유지되어 있는 식도 원주의 한쪽에만 있는 병변보다 연하곤란을 더욱 일관되게 일으킵니다. 기계적 연하곤란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흔한 원인은 악성종양, 소화성 또는 다른 원인의 양성 협착, 하부 식도 고리 등입니다. 식도 운동 연하곤란은 식도 횡문근이나 평활근의 질환에 의해 연동운동과 연하억제 과정에서 이상이 결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횡문근의 질환은 구강인두 근육침범에 부가하여 종종 경부 식도도 침범합니다. 경부 식도 침범의 임상 소견은 구강인두의 임상 소견에 의해 보통 가려집니다. 평활근 구역의 질환은 흉부 식도와 LES를 침범합니다. 연하곤란은 연동수축이 약하거나 또는 없거나 수축이 비연동성일 때 일어납니다.

 

연동의 소실은 LES 이완의 실패와 관련된 수 있습니다. 수축하는 힘의 약화는 피부경화중과 같은 근육약화나 콜린작동 부전에 의할 수 있습니다. 무연동 (nonperistalitic) 수축과 LES 이완의 실패는 억제성 신경지배 (inhibitory innervation)의 장애로 인해 일어납니다.

미만성 식도경련 (diffuse esophageal spasm, DES)에서는 억제성 신경지배의 손상이 식도 체부에서만 국한되지만 achalasia (아칼라지아, 식도이완불능증)에서는 억제성 신경지배의 손상이 식도체부와 LES 모두 존재합니다. 식도 근육약화에 의한 연하곤란은 종종 위식도역류질환의 증상들과 관련되어 존재합니다. 억제성 신경지배의 소실에 의한 연하곤란은 전형적으로 위식도역류질환과 관련이 없고 흉통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식도 운동성 연하곤란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이들은 식도의 피부경화증, 아칼라지아, DES 및 다른 운동질환입니다.

연하곤란의 원인질환은 위 표에 자세히 정리하였습니다.



[관련 이전 글]

2017/12/20 - [의학/의학 일반] - L-tube 삽입 (엘튜브, Levin tube, 콧줄, 코위관, 비위관 삽입; 인턴이 하는 일)

2020/01/28 - [의학/의학 일반] - 체중 감소 원인 질환, 진단 검사 (involuntary weight loss) (암, 당뇨병 등)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