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진단검사의학

림프구 (lymphocyte) 수치 증가, 감소하는 원인 질환 (림프구증가증, 림프구감소증), 기능

728x90



* 백혈구 (white blood cell, WBC) 종류

- 호중구 (neutrophil)

- 호산구 (eosinophil)

- 호염기구 (basophil)

- 단핵구 (monocyte)

- 림프구 (lymphocyte)


(각각에 해당되는 글 링크를 글 하단에 첨부합니다.)


림프구 (lymphocyte) 에 대한 내용은 사실 글 하나로 정리하기는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프구의 기능, 정상 수치 (참고범위), 증가 혹은 감소하는 원인 질환 (림프구증가증 (lymphocytosis), 림프구감소증 (lymphopenia))에 대하여 다룹니다.


기본적인 용어 (영어, 한글)는 다음과 같습니다.

Lymphocyte: 림프구

B-lymphocyte (B-cell): B림프구 (B세포)

T-lymphocyte (T-cell): T림프구 (T세포)



림프구의 성숙, 분화, 순환


인체 내 일차림프기관은 골수 (bone marrow)와 흉선 (thymus)입니다.

이 기관들은 림프구가 항원의 자극 없이 미성숙 전구세포로부터 분화 및 성숙할 수 있는 미세환경을 제공합니다.

이차림프기관에는 림프절, 비장, 소화관, 호흡기도의 림프조직, 말초혈액의 순환 림프구 등이 있습니다.

림프구는 일차림프기관에서 분화된 이후 이차림프기관에서 항원의 자극을 받아 작동세포 (effector cell)로 최종 분화합니다.

B림프구는 골수에서 성숙 B림프구까지 분화를 마칩니다.

T림프구는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로부터 CD7+ 미성숙 T림프구 단계까지 분화한 후, 흉선으로 이동하여 흉선 피막하 피질에서 성숙 T림프구가 되어 이차림프기관으로 이동합니다.

이차림프기관으로 이동한 림프구는 혈액, 림프관을 통해 온몸을 순환하다가 다시 림프기관으로 돌아옵니다.



말초혈액 림프구 수치, 정상 범위 (T림프구, B림프구)


우리 몸에 있는 전체 림프구 중에 2%정도는 말초혈액에서 순환하고 있습니다.


정상 성인에서 혈액의 백혈구 중 림프구의 비율 (감별계수)의 정상 수치 (참고 범위)20~40%입니다.

림프구 (lymphocyte) 수치 (개수)의 정상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인: 1.5~4.0×109/L (1,500~4,000/μL)


소아는 성인보다 백혈구 중 림프구의 비율이 높으며 신생아기, 영아기, 아동기 각각 림프구의 정상 수치 범위가 다릅니다.

소아 전체로 생각하면 림프구 개수의 범위는 1.5~8.8×109/L (1,500~8,800/μL)입니다.


생후 5세까지는 림프구의 수가 전체 백혈구의 50%정도에 이르다가 10세까지 점차 전체 림프구 및 T림프구 수가 감소하는데 성인보다는 많습니다.


B림프구 수는 평생동안 거의 일정합니다.

전체 림프구 중 T림프구는 60~70%, B림프구는 10~20%, 자연살해세포는 10~15%정도를 차지합니다.

T림프구는 수개월~수년동안 생존하며, B림프구는 수시간~수일간 생존합니다.



  



림프구의 종류, 분류 (Types of Lymphocytes)


림프구의 종류는 세포표면항원에 따라 T림프구, B림프구, 자연살해세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T림프구 (T세포, T-lymphocyte, T-cell)


T림프구는 전체 림프구의 60~70%를 차지합니다.

T림프구는 골수에서 기원하여 흉선에서 성숙됩니다.


성숙 T림프구의 종류별로 발현하는 세포 표현 항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력 T세포 (helper T-cell): CD3, CD4

- 세포독성 T세포 (cytotoxic T-cell): CD3, CD8

CD3 항원을 발현하는 것이 T림프구의 기본입니다.

위에 나열한 항원만 발현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것들은 기본적으로 발현하고, 추가적으로 발현하는 항원도 많습니다.

(CD 항원 (cluster of differentiation)에 대해서는 이 글 참조 바랍니다.)


말초혈액의 T림프구 60~70%중 조력 T세포는 38~46%, 세포독성 T세포는 31~40%를 차지합니다.

CD4/CD8 ratio1.0~1.5이 정상 범위입니다.


조력 T세포는 Th-1, Th-2로 구분됩니다.

Th-1IL-2, interferon-γ를 생산하여 세포독성 T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지연과민반응의 시작을 도와줍니다.

Th-2IL-4, IL-5를 생산하여 B림프구가 항체를 생산하는 형질세포로 발달하도록 돕습니다.

세포독성 T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종양세포, 동종이식편을 사멸시킬 수 있습니다.

이 때 작용하는 기전은 퍼포린 (perforin)을 분비하여 세포막을 파괴하는 것과 세포자멸사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2) B림프구 (B세포, B-lymphocyte, B-cell)


B림프구는 전체 림프구의 10~20%를 차지합니다.

B림프구는 골수에서 기원하고 분화하여 항체 생성과 관련 있는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ity)에 관여합니다.


B림프구는 CD19, CD20 항원을 발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면역모세포 (immunoblast), 림프형질세포양세포 (lymphoplasmacytoid cell), 형질세포 (plasma cell) 순으로 분화합니다.

형질세포는 림프절에 존재하며 정상적으로는 말초혈액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B림프구에 의한 항체매개면역 기능은 크게 2가지입니다.

- 형질세포로 분화하여 항체를 생성하는 것

- 조력 T세포에 항원을 전달하는 것

생성된 항체는 독소와 바이러스를 중화하고 식균작용이 쉽도록 세균을 옵소닌화 (opsonization)하는 것이 주기능입니다.


세포매개면역 (cell-mediated immunity)을 담당하는 T림프구항체매개면역 (antibody-mediated immunity, 체액성 면역)을 담당하는 B림프구의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T림프구


- 감염에 대항하는 숙주방어

  (주로 결핵균, 진균,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 알레르기 (과민성)

- 이식 거부반응, 종양 거부

- 항체 반응 조절 (조력 또는 억제)


* B림프구


- 감염에 대항하는 숙주방어

  (세균 옵소닌화, 독소 및 바이러스 중화)

- 알레르기 (과민성)

- 자가면역


3)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cell)


자연살해세포는 전체 림프구의 10~15%를 차지합니다.

자연살해세포는 골수에서 기원하며 T림프구 및 B림프구가 발현하는 항원을 발현하지 않습니다.

자연살해세포는 CD16, CD56 항원을 발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연살해세포는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주조직적합성복합체)에 제한 없이 다양한 표적세포에 대해 비특이적인 세포독성 작용을 하는 작동세포 (effector cell) 역할을 합니다.



림프구증가증 (lymphocytosis)


림프구증가증의 정의는 말초혈액 림프구 수가 아래 기준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입니다.

- 성인 4.0×109/L (4,000/μL)

- 소아 8.8×109/L (8,800/μL)

반응성 (reactive) 림프구증가증은 림프구 생성 자체에 이상이 있기보다는 각종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림프구가 증가하는 상태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 간염바이러스 (HBV, HCV ) 감염에서 흔히 관찰됩니다.

상대적 (relative) 림프구증가증은 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을 보이는 질환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이는 호중구가 감소하여 백혈구 중에서 림프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자연스럽게 증가한 것이므로 절대림프구수 (absolute lymphocyte count) 증가와 감별해야 합니다.

림프구백혈병양반응 (lymphocyte leukemoid reaction)은 정상 모양의 림프구가 상당히 증가하는 감염성 림프구증가증, 미성숙한 모양의 림프구가 증가하는 감염성 단핵구증 (infectious mononucleosis) 등에서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 반응은 마치 백혈병처럼 백혈구가 증가되는 것이므로 백혈병과 감별해야 합니다.

이 반응은 악성 종양이 아니라 감염성 원인이 대부분이므로, 악성 종양인 백혈병과 감별하는 것은 더욱 중요합니다.

림프구백혈병양반응은 골수검사에서 백혈병에 비해 골수에서의 림프구 증가가 미미합니다.

또한 말초혈액이나 골수의 림프구로 유세포분석을 하면 비클론림프구 증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클론성 증식인 백혈병과 감별할 수 있습니다.


  



림프구증가증 (lymphocytosis)의 원인을 표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연령 (생후 일주일부터 4세까지)에 따른 생리적 현상 (정상적인 증가)

감염

 감염성 림프구증가증

 감염단핵구증 (infectious nucleosis. EBV 감염)

 거대세포바이러스 (cytomegalovirus, CMV) 감염

 바이러스 간염 (HBV, HCV )

 백일해 (pertussis)

 브루셀라증 (brucellosis)

 톡소포자충증 (toxoplasmosis)

 Mycoplasma (마이코플라스마) 감염

 매독 (syphilis) (만성 감염)

혈액종양

 급성림프모구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만성림프구백혈병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림프종의 백혈병 발현 (leukemic transformation of lymphoma)

 림프증식질환 (lymphoproliferative disease, LPD)

약물 과민반응 Dilantin, para-aminosalicylic acid

기타

 자가면역질환

 갑상선중독증 (thyrotoxicosis)

 Addison disease (애디슨병)

 이식거부반응



림프구감소증 (lymphopenia)


림프구감소증의 정의는 말초혈액 림프구 (lymphocyte) 수가 아래 기준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입니다.

- 성인 1.0×109/L (1,000/μL)

- 소아 2.0×109/L (2,000/μL)

림프구 중에는 T림프구가 60~70%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조력 T세포가 결핍되는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에서 흔히 관찰됩니다.



[백혈구 종류 및 수치 관련 글]


호중구 (neutrophil)

림프구 (lymphocyte)

단핵구 (monocyte)

호산구 (Eosinophil) (1)

호산구 (Eosinophil) (2)

호염기구 (basophil), 비만세포 (mast cell)


Atypical lymphocyte, reactive lymphocyte, abnormal lymphocyte (비정형림프구, 반응성 림프구, 비정상 림프구)

형질세포 (plasma cell)

조직구 (histiocyts), 대식세포 (macrophage), dendritic cell (수지상세포)

저분절 호중구 (hyposegmented 중성구, hypolobated neutrophil, Pelger Huet 펠거 휴엣)


[기타 관련 글]


유세포분석 (flow cytometry, FCM) (1) 원리, 방법, compensation (보상) (림프구아형검사 lymphocyte subset)

CD항원 (cluster of differenitation)

Infectious mononucleosis (감염성 단핵구증, 전염단핵구증)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EBV) 감염 관련 질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