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건강염려증 증상, 진단, 치료 (hypochondria, hypochondriasis) 건강염려증 (hypochondria, hypochondriasis) 개요 건강염려증은 말 그대로 건강을 지나치게 염려하는 병으로, 일상생활에서 그냥 하는 말 같지만 정신과 질환에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물론 단순히 건강을 조금 걱정한다고 해서 건강염려증인 것은 아닙니다. 건강염려증의 정확한 진단 기준은 이 글 중후반부에 나옵니다. 건강염려증은 신체적 증상이나 감각을 비현실적으로 부정확하게 인식해서 자신이 심한 병에 걸렸다는 집착과 공포를 가지게 된 상태로 사회생활이나 직업기능에 지장이 있는 경우입니다. 신체적 질환이 없다는 확진을 받아도 이를 믿으려 하지 않고 여러 의사를 찾아다니면서 적절한 치료혜택을 받지 못했다고 전전긍긍합니다. 건강염려증의 영어 용어 hypochondria의 어원인 'hypoc.. 더보기
전환장애 (conversion disorder) - 쉬운 설명 “부부싸움을 하다가 기절했어요.” “시어머니와의 갈등 상황에서 손발이 마비되었어요.” 전환장애 (conversion disorder)는 정신과 질환 중 신체형 장애에 속하는 질환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신체적인 증상으로 전환되었다는 의미에서 명명되었습니다. 1. 전환장애 (conversion disorder) 개요 전환장애는 심리적 갈등이 원인이 되어 신경계 증상, 즉 감각기관이나 수의운동기관의 증상이 1가지 이상 오는 경우입니다. 감각기관의 이상으로는 실명, 감각 상실 등이 있고, 수의운동기관 증상으로는 마비 등이 있습니다. 이 증상은 의학적으로나 병리생리적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예전에는 히스테리신경증 전환형 (hysterical neurosis, conversion type)으로 불렸는데, 신경증적.. 더보기
코로나 지침 – 외국인, 해외 입국 (최신 제7-4판 개정 내용, 2020년 4월 3일) 코로나 지침이 다시 한 번 개정되었습니다. 2020년 4월 3일부로 제7-4판 코로나 지침이 적용됩니다.코로나 지침 pdf 파일을 첨부합니다. 지난 코로나 지침 제7-3판은 2020년 3월 15일부터 적용되고 있었습니다. 지난 코로나 지침에서는 확진환자 (확진자), 접촉자의 격리해제 기준에 변동사항이 있었습니다. 이전 글 참조: 코로나 격리해제 기준 (확진환자, 접촉자, 자가격리) (2020.3.15. 최신 수정 변경) 이번 코로나 지침 제7-4판에서 개정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례정의, 접촉자 조사 범위, 해외입국자 관리방안 2) 무증상 확진환자 (확진자) 격리해제 검사 주기, 실험실 검사 선택 검체 3) 입원치료 통지서, 격리통지서의 벌칙, 격리통지서 양식 등 코로나 서식 개정 4) .. 더보기
혈색소 (hemoglobin, Hb, 헤모글로빈, 빈혈) 정상 수치, 측정 방법과 원리 (메트헤모글로빈, 황화혈색소, 일산화탄소혈색소) 이 글은 빈혈 수치로 잘 알려져 있는 혈색소 (hemoglobin, Hb, 헤모글로빈)의 기능과 측정 방법, 이상혈색소의 종류에 대한 글입니다. 빈혈 진단에 필수적인 혈색소 수치의 증가/감소 기준, 빈혈 기준 등에 대한 내용이 주제는 아니지만 간단히 소개합니다. * 혈색소 (hemoglobin, Hb, 헤모글로빈) 정상 수치 (참고범위) 성인 남성: 13.5~17.5 g/dL성인 여성: 12.0~15.5 g/dL 참고로 Hb의 국제 단위 (SI unit)은 g/L입니다.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g/dL 단위를 많이 사용합니다.흔히 말하기를 혈색소 (hemoglobin, 헤모글로빈) 수치는 15 전후가 정상인데, 이것의 단위는 g/dL입니다. 위 수치보다 조금 낮다고 해서 바로 빈혈이라고 진단할 수 있는 것은.. 더보기
소변검사 - 백혈구 (농뇨, pyuria), 케톤, 아질산,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이번 글에서는 소변검사 (요시험지봉 검사, 스틱) 항목 중 백혈구 (pyruia, 농뇨), 케톤, 아질산, 빌리루빈 등에 대해서 다룹니다. 단백뇨, 요당, 요잠혈 (적혈구), 요비중, pH 등 다른 항목에 대해서는 지난 글에서 다루었습니다. 관련 글 1) 소변검사 단백뇨 원인 (요단백, 요시험지봉, 스틱)관련 글 2) 소변검사 – 요당, 요잠혈 (적혈구), 요비중, pH (산도) 1. 소변 백혈구 (요백혈구, 농뇨, pyuria) 농뇨 (pyuria)는 고름이 있는 소변인데, 소변이 그렇게 되는 이유는 백혈구 (WBC) 때문입니다.농뇨의 정의는 소변의 원심분리 침전물에서 백혈구가 3개 이상 (현미경 고배율에서) 존재하는 경우입니다.농뇨는 요도염, 방광염, 신장염 등 신장-요로계의 염증 및 감염 가능성을 .. 더보기
코로나 진단키트 담화문 (시약, 승인, 유전자 검사, 신속) 지난 글에서 코로나 진단키트에 대한 오해를 풀어주는 학회의 담화문을 소개했습니다.코로나 진단키트 - 대한진단검사의학회의 입장, 담화문 (美FDA 지적) - 2020년 3월 15일 담화문 코로나 진단키트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등 6개의 유관 단체에서 담화문을 또다시 발표했습니다.코로나19 진단검사에 대한 진단검사 유관단체 담화문 - 2020년 3월 17일 담화문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시약과 검사 원리, 검사 결과가 바뀌는 이유, 코로나 항원/항체 신속검사의 불필요성에 대하여 질문과 답변 식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담화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COVID-19 (코로나19) 진단검사에 대한 담화문-3 최근 국민과 언론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계신 COVID-19 (코.. 더보기
소변검사 – 요당, 요잠혈 (적혈구), 요비중, pH (산도) 이번 글에서는 소변검사 (요시험지봉 검사 (urine dipstick, strip)) 항목 중 요당, 요잠혈, 요비중, pH (산도) 등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소변검사 단백뇨 원인에 대해서는 지난 글 (링크) 참조 바랍니다. 1. 요당 (urine glucose) 혈당이 180~200 mg/dL 이상이거나, 사구체의 여과속도가 높은 경우에 소변에서 당 (요당)이 검출될 수 있습니다. 당뇨병, 각종 내분비질환, 만성 간질환 등에서도 요당 양성일 수 있습니다. 당뇨병에 대한 추가정보는 이하 지난 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당화혈색소 (HbA1c) 2) 경구 당부하 검사 (OGTT) 3) 케톤체, 당뇨병성 케톤산증 소변검사에서 요당을 검출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Glucose oxidas.. 더보기
리케차 (Rickettsia, 리케치아) 개요 리케차 (Rickettsia, 리케치아)는 참진드기, 이, 벼룩, 털진드기 유충 등의 매개체에 의해 사람이나 동물에 감염을 일으킵니다. 리케차는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자라는 그람 음성 간구균입니다. 리케차의 크기는 직경 0.3~0.6 μm, 길이는 0.8~2.0 μm 정도입니다. 리케차는 DNA, RNA를 모두 가지고 있고 이분법으로 증식합니다. 리케차의 에너지원은 glucose가 아니라 glutamate입니다. TCA 회로의 중간물인 succinate를 산화시킵니다. 리케차의 형질막은 운반체 수송 체계를 갖추고 있어서 숙주세포의 영양분과 coenzyme을 흡수가거나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케차는 adenylate exchange carrier를 가지고 있어서 숙주의 ATP에서 성장에 필요한 .. 더보기